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프롬프트
- 파이썬 대문자
- 파이썬 기초
- 데이터사이언스
- 머신러닝
- 아이펠
- AI
-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꼬리문자열
- 새싹금천캠퍼스
- cnn
- 모두연
- 프로그래머스
- 꼬리문자열 프로그래머스
- 파이썬 코딩기초트레이닝 문자열
- 파이썬 프로그래머스
- 프롬프트엔지니어링
- 파이썬입문
- 풀스택개발자과정
- 인공지능
- 파이썬기초
- 파이썬
- 사이킷런
- 꼬리문자열
- 파이썬 문자열
- 인공신경망
- 모두의연구소
- 파이썬함수
- 인공지능교육
- 데이터사이언티스트
- 모두연커리어랩
- Today
- Total
목록PYTHON (19)
Lighthouse
문자열 포맷코드 '문자열 포맷코드'란, 문자열 사이에 넣고 싶은 데이터 타입을 설정해 입력하는 방법이다. text = '%s 고객님 환영합니다.' %'헤이마트'print(text)text = '%s 고객님 환영합니다.' %'파이썬'print(text)name = '뉴진스'text = '%s 고객님 환영합니다.' %nameprint(text) 헤이마트 고객님 환영합니다. 파이썬 고객님 환영합니다. 뉴진스 고객님 환영합니다. -%s는 문자열 위치에 문자를 넣겠다는 의미.%d : 정수%f : 부동소수점 실수%% : % 표시- text = '%s 고객님 %d번째 방문을 환영합니다.'%('헤이마트', 100)print(text) 헤이마트 고객님 100번째 방문을 환영합니다. 괄호 안의 문자열 포맷 순서에 맞춰..

프로그래머스 입문 리스트를 새로 만들고 그안에 빈도 값을 세어 추가한다. array 배열의 [0] 부터 array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한다.리스트이름.count(n) : n값이 리스트 안에 몇번 들어있는지 알려주는 코드 겹치는 최빈값이 없다면 최빈값 리스트안에는 1개의 값만 들어있을 것이다.그렇지 않다면 -1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 나의 풀이def solution(array):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count = Counter(array) max_freq = max(count.values()) modes = [k for k, v in count.items() if v == max_freq] if len(modes) > 1: ..
GCD는 "Greatest Common Divisor"의 약자로,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의미한다.최대공약수는 두 수가 공통으로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정수이다. GCD는 분수의 기약분수 형태를 구할 때, 또는 두 수의 약수 관계를 분석할 때 유용하다.Python에서는 math 모듈의 gcd 함수를 사용하여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쉽게 구할 수 있다.이 함수는 유클리드 알고리즘(Euclidean algorithm)을 사용하여 두 수의 GCD를 계산한다. import math# 두 수의 최대공약수 구하기a = 48b = 18g = math.gcd(a, b)print(g) # 출력: 6
파이썬의 내포 표기법(Comprehension)은 리스트, 세트, 딕셔너리와 같은 컬렉션 데이터 타입을 생성할 때 간결하고 읽기 쉬운 방식을 제공합니다. 내포 표기법은 주로 반복문과 조건문을 결합하여 사용하며, 간단한 연산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 1. 리스트 내포(List Comprehension) 기본 형태 : [expression for item in iterable if condition] # 일반적인 방법 squared_numbers = [] for i in range(10): squared_numbers.append(i * i) # 리스트 내포를 사용한 방법 squared_numbers = [i * i for i in range(10)] 조건을 추가한 예제: # 짝수의 제곱만 계산 squared..
파이썬에서는 객체의 동일성과 등가성을 구분해서 처리합니다. 이 두 가지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. 동일성 (Identity): 두 객체가 메모리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. is 연산자를 사용하여 검사한다. 예: a is b 는 a와 b가 동일한 객체를 참조하고 있으면 True를 반환한다. 등가성(Equality): 두 객체의 내용이나 값이 같은지를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. '==' 연산자를 사용하여 검사한다. 예: 'a==b'는 'a'와 'b'의 값이 같으면 'True'를 반환한다. a = [1, 2, 3] b = [1, 2, 3] c = a print(a is b) # False - a와 b는 서로 다른 메모리 위치에 있기 때문입니다. print(a == b) # True..
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+나 -등의 기호를 산술연산자(operator), 연산 대상을 피연산자(operand)라고 한다. 예를 들어 대소 관계를 판단하는 식 a > b에서 연산자는 >이고, 피연산자는 a, b이다.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된다. 단항 연산자(unary operator): 피연산자 1개 예) - a 이항 연산자(binary operator): 피연산자 2개 예) a < b 삼항 연산자(ternary operator): 피연산자 3개 예) a if b else c 이 중에서 조건 연산자(conditional operator인 if ~ else 문은 파이썬의 유일한 삼항 연산자이다. 예를 들어 조건식 a if b else c는 b를 평가한 값이 참True이면 a를, 거짓Fa..
if 문이나 while 문 등 복합문의 첫 부분은 if나 while과 같은 키워드로 시작하여 콜론(:)으로 끝난다 이 부분을 헤더header라고 한다. 헤더의 마지막 콜론(:)은 '바로 뒤에 스위트가 이어진다'를 의미한다. * 스위트(suite)는 헤더와 한 세트로 따라다니는 실행문을 의미. if 문의 구조 if식 : 스위트 if 문 반드시 1개 필요 elif식 : 스위트 elif 문 없거나, 있으면 n개 가능 else식 : 스위트 else 문 없거나, 있으면 1개 가능

파이썬에서 lambda는 익명 함수(anonymous function)를 생성하기 위한 키워드이다. lambda 함수는 일반적인 함수와 달리 이름이 없고 한 줄로 간단하게 정의된다. lambda 기본 문법 lambda arguments: expression ex1) lambda를 이용하여 x, y를 더하는 함수 만들어 add라는 변수에 집어넣는다. add = lambda x, y: x + y result = add(3, 5) print(result) # 출력: 8 ex2) lambda를 이용하여 y=3*x 함수 만들기 y = lambda x : 3 * x y(12) #36 ex3) lambda를 이용하여 [:10]까지 문자열을 슬라이싱 하는 함수만들기 what_is_lambda = '''lambda ar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