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파이썬팩토리얼
- 꼬리문자열 프로그래머스
- cnn
- 모두연커리어랩
- 파이썬기초
- 파이썬 코드테스트 특정 문자 제거하기
- 인공신경망
- AI
- 프롬프트엔지니어링
- 인공지능교육
- 프롬프트
- 프로그래머스
- 파이썬 코딩기초트레이닝 문자열
- 파이썬 대문자
- 파이썬 프로그래머스
- 파이썬 문자열
- 파이썬
-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꼬리문자열
- 아이펠
- 파이썬함수
- 파이썬입문
- 인공지능
- 데이터사이언티스트
- 사이킷런
- 꼬리문자열
- 모두의연구소
- 파이썬 기초
- 모두연
- 데이터사이언스
- 머신러닝
- Today
- Total
목록파이썬 (12)
Lighthouse
영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my_string과 영소문자 1글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al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my_string에서 alp에 해당하는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. 1 ≤ my_string의 길이 ≤ 1,000 my_string alp result "programmers" "p" "Programmers" "lowercase" "x" "lowercase" 첫번째 풀이 - 오답def solution(my_string, alp): for i in my_string: if i == alp: my_string += i.upper() else: m..
문제 설명 i팩토리얼 (i!)은 1부터 i까지 정수의 곱을 의미합니다. 예를들어 5! = 5 * 4 * 3 * 2 * 1 = 120 입니다. 정수 n이 주어질 때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큰 정수 i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i! ≤ n 제한사항 0 n ≤ 3,628,800 입출력 예 nresult3628800107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#1 10! = 3,628,800입니다. n이 3628800이므로 최대 팩토리얼인 10을 return 합니다. 입출력 예 #2 3! = 6, 4! = 24입니다. n이 7이므로, 7 이하의 최대 팩토리얼인 3을 return 합니다. 내 풀이def fac(k): result = 1 for i in rang..
문자열 my_string과 문자 letter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my_string에서 letter를 제거한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1 ≤ my_string의 길이 ≤ 100 letter은 길이가 1인 영문자입니다. my_string과 letter은 알파벳 대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합니다.my_stringletterresult"abcdef""f""abcde""BCBdbe""B""Cdbe" 입출력 예 #1 "abcdef" 에서 "f"를 제거한 "abcde"를 return합니다. 입출력 예 #2 "BCBdbe" 에서 "B"를 모두 제거한 "Cdbe"를 return합니다. 내 풀이def solution(my_string, le..
길이가 같은 두 문자열 str1과 str2가 주어집니다. 두 문자열의 각 문자가 앞에서부터 서로 번갈아가면서 한 번씩 등장하는 문자열을 만들어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 제한사항 1 ≤ str1의 길이 = str2의 길이 ≤ 10 str1과 str2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. 입출력예str1 = 'aaa'str2 = 'bbb'result = 'ababab' 내풀이str1 = 'abc'str2 = '123'def solution(str1, str2): answer = '' for i in range(len(str1)): answer = str1[i]+str2[i] return answer 결과'cC' answer에 마지막..
문제 정수가 담긴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질 때, num_list의 원소 중 짝수와 홀수의 개수를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 입출력 예num_listresult[1, 2, 3, 4, 5][2, 3][1, 3, 5, 7][0, 4]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#1[1, 2, 3, 4, 5]에는 짝수가 2, 4로 두 개, 홀수가 1, 3, 5로 세 개 있습니다. 입출력 예 #2[1, 3, 5, 7]에는 짝수가 없고 홀수가 네 개 있습니다. num_list = []def solution(num_list): even_num_list = [] odd_num_list = [] for i in num_list: if num_list[i]..
문제 1.2.1파일을 다운로드할 때의 평균 속도(average rate)를 r이라 하고, 다운로드하는 데 걸린 시간(time)을 t라고 할 때, 다운로드한 파일의 용량은 r×t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 다운로드 속도가 초당 800kB이고 다운로드하는 데 걸린 시간이 110초라고 할 때, 다운로드한 파일의 크기는 몇 MB일까요? 단, 1MB=1000kB로 계산합니다. 내 풀이r = 800t = 110x = r*t/1000print(x) 88.0 문제 1.6.1사용자에게 정수를 입력받아, 그 수의 제곱을 계산해 출력하는 파이썬 스크립트를 작성하세요. 내 풀이 n = int(input())print(n**2) 2.1.1 연습 문제: 입력받은 숫자만큼 반복하기(while) input()으로 사용자로부터 정수를..
함수를 생성하는 방법 def 함수명(매개변수): 코드 total_object = {'cola':5, 'cider':10}def add_object(name, count): total_object[name] += count print(name + '재고 :', str(total_object[name])) add_object('cola', 10)add_object('cider', 20) cola재고 : 15cider재고 : 30 매개변수와 인수매개변수는 함수 호출 시 함수로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변수.보통 '매개변수'또는 '파라미터(Parameter)'라고 부른다.매개변수는 함수 생성 시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, 사용할 수도 있다.매개변수가 없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. def no..
리스트 생성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 리스트 자료형을 사용한다.리스트 자료형은 변수명을 선언하고 대괄호 안에 , 를 사용해 데이터를 입력한다. #변수명 = [데이터1, 데이터2, 데이터3]user = ['고객1', '고객2', '고객3']drink = ['콜라', '사이다', '오렌지쥬스']price = [1200, 1200, 1000]data = list()data1 = [['고객1', '010-123-4567', 20], ['고객2', '010-222-3333', 22]]data2 = [1, 2, 3, ['고객1', '고객2', '고객3']] 리스트 인덱싱price = [100,200,300]p1 = price[0]p2 = price[-1]print(p1, p2)100 300 data..
문자열 포맷코드 '문자열 포맷코드'란, 문자열 사이에 넣고 싶은 데이터 타입을 설정해 입력하는 방법이다. text = '%s 고객님 환영합니다.' %'헤이마트'print(text)text = '%s 고객님 환영합니다.' %'파이썬'print(text)name = '뉴진스'text = '%s 고객님 환영합니다.' %nameprint(text) 헤이마트 고객님 환영합니다. 파이썬 고객님 환영합니다. 뉴진스 고객님 환영합니다. -%s는 문자열 위치에 문자를 넣겠다는 의미.%d : 정수%f : 부동소수점 실수%% : % 표시- text = '%s 고객님 %d번째 방문을 환영합니다.'%('헤이마트', 100)print(text) 헤이마트 고객님 100번째 방문을 환영합니다. 괄호 안의 문자열 포맷 순서에 맞춰..
파이썬에서는 객체의 동일성과 등가성을 구분해서 처리합니다. 이 두 가지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. 동일성 (Identity): 두 객체가 메모리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. is 연산자를 사용하여 검사한다. 예: a is b 는 a와 b가 동일한 객체를 참조하고 있으면 True를 반환한다. 등가성(Equality): 두 객체의 내용이나 값이 같은지를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. '==' 연산자를 사용하여 검사한다. 예: 'a==b'는 'a'와 'b'의 값이 같으면 'True'를 반환한다. a = [1, 2, 3] b = [1, 2, 3] c = a print(a is b) # False - a와 b는 서로 다른 메모리 위치에 있기 때문입니다. print(a == b) # True..